본문 바로가기
♣ 재테크

인플레이션에 따른 부동산의 가치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by 알뜰한 클로버 2022. 8. 13.
반응형

인플레이션에 따른 부동산의 가치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썸네일

 

1.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 


금본위 화폐제도가 사라지면서 정부는 금이 없어도 마음대로 돈을 찍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결국 정부는 경제가 침체될 때마다 천문학적인 돈을 찍어내게 됩니다. 이렇게 돈을 마구 찍어내면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인플레이션이 오게 되는데, 이런 시스템 하에선 돈을 빌린 사람이 득을 보게 됩니다. 실질 구매력이 높은 현재에 빌려서, 실질 구매력이 떨어진 후일에 갚으면 되니까 앉아서 돈을 버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돈을 빌려서 실물 자산인 부동산에 투자한 사람은 더 큰돈을 벌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부동산 가격은 오르고 빚 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니 말입니다. 바로 이런 게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입니다.

 

2.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그럼 빚을 내서 부동산에 투자하면 실패할 확률이 없는 것일까요? 장기적으로 보면 항상 그렇습니다. 그동안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한 가지 염두에 둘 점은 자산 가격은 사이클이 있다는 것입니다. 자산 가격은 직선으로 오르는 것이 아니라 하강과 상승 사이클을 그리면서 우상향 합니다. 그래서 과도한 빚을 얻어서 부동산 투자를 하다 하락 사이클에 걸리면 파산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빚은 원리금을 갚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얻어야 합니다. 이원칙을 지키고 장기투자를 하면 부동산은 절대 당신을 실망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열심히 저축해서 충분히 돈을 모은 다음에 그 돈으로 집을 사겠다고 생각한 사람이 어리석다고 하는 것입니다. 거북이처럼 착실하게 집 살 돈을 모았을 때 이미 집값은 토끼처럼 저 멀리 달아나 있게 됩니다.

 

3. 인플레이션 발생의 필연성


돈은 빚(대출)으로 생겨납니다. 빚이 많이 발생할수록 돈이 더 많이 생겨납니다. 이런 식으로 돈이 많아지면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요? 돈 가치가 떨어져서 인플레이션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섬에 돈이 10원이 있고 바나나가 100개 있다면, 1원으로 바나나 10개를 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바나나는 그대로인데 돈만 20원으로 늘어난다면 이제부터는 1원으로 바나나 5개만 살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돈 가치가 떨어지고 실물 자산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 인플레이션입니다. 즉, 금본위제가 아닌 지금 같은 화폐제도 아래서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자장면 가격이 50년 동안 300배 올랐습니다. 부동산 가격은 더 올랐습니다. 1971년에 지어진 여의도 시범아파트 18평은 당시 분양가가 212만 원이었습니다. 지금 시세는 9억 5천만 원입니다. 시간은 절대로 화폐 보유자 편이 아닙니다. 이게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입니다.

 

4. 인플레이션과 집값의 상관관계


집값이 하락하는 시기도 있습니다. 그러나 집값 하락은 언제나 예외적인 시기입니다. 집값의 역사를 살펴보면 가장 최근의 하락기(2007년~2014년)는 예외적인 시기였습니다. 1986년 아파트 가격 동계를 만든 이후에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것은 딱 3번이었습니다. 노태우 정부의 200만 호 대량 공급 때, IMF 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가 전부입니다. 이런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집값은 인플레이션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출처 및 참고 : 우석(브라운스톤), 「부의 인문학」, 오픈마인드, 2019

반응형

댓글